리그 오브 레전드의 138번째 챔피언 거산의 화염 오른 공략입니다. 2017년 8월 23일 출시된 오른은 절대 밀리지 않는 방패와 같은 라인전과 강력한 이니시로 소위 '국밥' 챔피언이라 불리며 유저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또한, 대장장이 오른의 최고 장점이라 불리는 오른의 걸작 아이템 때문에 게임을 후반으로 갈수록 오른이 있는 팀이 유리한 상황이 펼쳐지게 되었습니다. 출시 당시, 오른과 아군 챔피언들이 직접 1000 골드를 주고 구매해야 했으나, 현재는 오른이 13 레벨을 달성하면 자신의 아이템 2개를 골드 소모 없이 업그레이드 가능하며, 14 레벨 이후부터 오른의 레벨이 오를 때마다 아군의 아이템을 업그레이드해줄 수 있는 사기적인 패시브를 갖고 있는 챔피언입니다. 룬 오른은 착취의 손아귀와 봉인..
리그 오브 레전드의 68번째 챔피언 사막의 도살자 레넥톤 공략입니다. 2011년 1월 18일에 출시된 레넥톤은 막강한 라인전과 든든한 능력치 스펙으로 오랫동안 탑에서 독주체제를 이루었습니다. 출시부터 지금까지 단 한 시즌도 안 좋았던 평가가 없을 정도였습니다. 레넥톤이 즐겨쓰던 티아멧 - 칠흑의 양날 도끼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스킬 데미지에서 너프를 받게 되어 약간의 픽률이 저하되었습니다. 2019년 정복자의 리메이크와 쇼진의 창과 잘 어울려 픽률이 다시 오르고 Q - 양떼 도륙, W - 무자비한 포식자에 보호막 파괴(분노)를 얻게 되며 다시 예전의 강함을 보이게 되어 탑은 물론 미드에도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쇼진의 창은 삭제되어 주춤하는 모습이 보이나 했으나, 몰락한 왕의 검 근거리 버프로 여전히..
리그 오브 레전드의 85번째 챔피언 무법자 그레이브즈 공략입니다. 그레이브즈는 2011년 10월 19일 원거리 딜러로 출시되었습니다. 사거리 525로 평범한 원딜에 속했으나, 현재 E - 빨리 뽑기의 '진정한 용기'효과가 패시브로 있어 방어력/ 마법 저항력이 상당히 높았고 치명타, 방어구 관통력 등 다양한 템트리로 매우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이후, 출시 초기부터 너프를 꾸준히 받게 되다 5.22 패치를 통해 리메이크가 되었습니다. 리메이크 이후, 역할군은 원거리지만 전사에 가까운 플레이 스타일로 변하게 되어 정글로 포지션이 변경되었습니다. 독특하게 2발의 산탄총을 사용하며 장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무난하게 사용되던 그레이브즈는 정글 경험치 너프 패치를 통해 모습을 감추었으나 2번의 버프와 ..
리그 오브 레전드의 96번째 챔피언 전쟁의 전조 헤카림 공략입니다. 2012년 4월 18일 출시된 헤카림은 탑과 정글에서 골고루 쓰인 챔피언이었으나, OP 챔피언들의 출현과 리메이크를 받은 챔피언들이 탑에 자주 나오게 되면서 픽률이 저하되었습니다. 또한, 정글링 경험치 하향으로 성장형 정글러가 타격을 받게 되면서 헤카림 정글의 픽률과 승률 모두 내려갔습니다. 하지만, 10.11 패치에서 Q 스킬의 버프로 정글 헤카림이 초반 정글링 속도에 버프를 받게 되었으며 E - 파멸의 돌격과 R - 그림자의 맹습이 버프를 받아 탑과 정글 양쪽에서 눈에 띄게 성적이 증가했습니다. 이후 E 스킬이 약간 너프를 받긴 했지만, 여전히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른 정글 챔피언들의 너프와 메타의 변화로 정글에서의 픽률이..
리그 오브 레전드의 151번째 챔피언 사막의 장미 사미라 공략입니다. 2020년 9월 22일 사미라가 전장에 합류했습니다. 챔피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혼란스러우며, 많은 유저들이 처음 플레이하기에 대부분의 챔피언은 출시 당일 30~40%의 승률을 보입니다. 하지만 사미라는 놀랍게도 승률이 45~55%를 달성하며 유례없는 출시 당일 너프를 먹게 되었습니다. 기본 체력 600 > 530 R - 지옥불 난사 피해량 : 10/20/30 (+공격력의 60%) ;10회 전부 명중 시 100/200/300 (공격력의 600%) > 0/10/20 (+공격력의 50%) ;10회 전부 명중시 0/100/200(공격력의 500%) 기본 체력 70과 궁극기의 AD 계수가 감소했습니다. 룬 사미라는 정복자를 들어주시면 되겠..
리그 오브 레전드의 117번째 챔피언 용서받지 못한 자 야스오 공략입니다. 2013년 12월 13일에 출시된 야스오의 합류로 탑 티모/정글 마스터 이/ 미드 야스오/원딜 베인/서폿 블리츠크랭크라는 충 조합이 완성되었습니다. 야스오 챔피언이 매력적이지만 난이도가 있어, 장인 유저와 일반 유저의 차이가 극단적으로 보이게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야스오의 이미지가 변질되어 '야(스오는)필(히)패(한다)'라는 공식과 이를 증명했다해서 '과학(사이언스)'이라는 별명까지 생겼습니다. 이렇게 플레이어에따라 평판이 달라지는 야스오였지만, 2018년 브루저 메타와 원딜 챔피언들의 너프로 야스오가 좋은 이미지를 찾기 시작하게되었습니다. 충 챔피언과 OP 챔피언 사이 어딘가에 있던 야스오는 이제 1티어에 당당하게 입성하였습니다..
2020년 9월 22일 두 번째 초능력 특공대 스킨과 함께 사미라가 출시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출시 당일이라, 랭크에서는 보기 힘들며 일반에서는 자주 보게 됩니다. 아직 사미라 통계가 잡히지 않아, 전 세계 프로 선수들은 어떤 선택을 할까 알아보았습니다. 공통적으로 룬은 정복자를 들어주며, 소환사 주문은 회복 + 점멸을 들어줍니다. 상황에 따라 정화와 탈진까지 선택해볼 만하다 합니다. 아이템 세팅의 특이한 점은 따로 공격 속도 아이템을 빠르게 올리지 않다는 점입니다. 아이템은 정수 약탈자의 선호도가 높은편입니다. 재사용 대기 시간 감소 20%의 효과와 스킬 데미지가 엄청난 사미라에게 마나 수급을 도와주는 용도로 선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마나무네는 프로 선수들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PBE 서버에..
리그 오브 레전드의 125번째 챔피언 시간을 달리는 소년 에코 공략입니다. 2015년 5월 28일에 출시된 에코는 시간을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는 천재 소년이라는 컨셉으로 전장에 합류했습니다. 에코는 상대방의 주요 딜러를 암살하는데 특화된 챔피언입니다. 잘 성장한 에코에게 원거리 딜러는 단 3방이면 충분할정도로 간단하게 제압할 수 있으며, R - 시공간 붕괴로 유유히 도망가버립니다. 에코는 한동안 미드에서만 사용되다, 정글 아이템 룬의 메아리의 출시로 정글에서 자주보게 되었습니다. 룬 정글 에코는 어둠의 수확을, 미드 에코는 감전을 사용합니다. 정글 에코 룬입니다. 에코는 룬의 메아리를 완성 하기 전후로 챔피언이 180도 바뀌게 됩니다. 패시브 - Z 드라이브 공진의 세 번째 공격으로 어둠의 수확 스택을..
리그 오브 레전드의 73번째 챔피언 눈 먼 수도승 리신 공략입니다. 2011년 4월 1일 출시된 리신은 뛰어난 기동력과 화려한 스킬 콤보로 메타의 상관없이 상위권에 위치한 챔피언입니다. 리신이라는 챔피언만의 독특한 스킬 구성과 플레이어에 따라 천차만별의 플레이가 가능한 팔색조의 매력을 가졌습니다. 공격형 정글 메타에서는 최상위권 포식자에 위치하며, 탱커형 정글 메타에서도 리신의 힘을 발휘할 수 있어 출시 이후 꾸준하게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일본 롤 프로리그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블랭크 선수의 SKT 시절 리신 플레이입니다. 리신 플레이의 정점이라 할 수 있는 그런 플레이라고 생각되네요. 리신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와드 + 방호 콤보와 플 + 궁 (상황에 따라 궁 + 플)의 모습입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95번째 챔피언 요정 마법사 룰루 공략입니다. 룰루는 2012년 3월 20일에 출시되었으며, 서포터로 꾸준히 좋게 평가되어 항상 좋은 티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스킬 사용에 따라 상당한 견제와 서포팅 스킬이 가능하여 라인전이 강력한 챔피언입니다. 이 장점을 살려 아군에 원거리 딜러 챔피언이 다수 있는 경우 탑과 미드에서도 사용하여 보조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룰루의 귀여운 외모와 목소리에 많은 유저들에게 인기가 많은 챔피언입니다. 룬 서폿 룰루는 콩콩이 소환&수호자 두 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룰루의 기본 공격 사거리는 550으로 상당히 긴 편이며, 패시브를 활용한 평타 견제와 Q -반짝반짝 창과 E - 도와줘, 픽스!로 상대 챔피언을 무한 견제 가능합니다. 상대를 공격하거나 아군을 보..
리그 오브 레전드의 148번째 챔피언 우두머리 세트 공략입니다. 세트는 2020년 1월 14일에 출시된 챔피언입니다. 마나를 사용하지 않는 노코스트이며, 받은 피해의 일부를 세트 최대 체력의 50%까지 투지로 저장합니다. 투지는 4초동안 유지되며, 빠르게 감소합니다. 이 투지를 이용해 W - 강펀치의 데미지를 높힐 수 있습니다. 양손 주먹을 사용하며 뚜벅이 챔피언이지만 상당히 강력하고 챔피언을 향해 돌진할때는 빠르게 이동이 가능합니다. 세트는 탑, 미드, 정글, 서폿 두루 사용이 가능한 만능형 챔피언입니다. 탑과 미드는 AD 템트리를 올리며, 정글과 서폿은 탱킹 위주 템트리를 올리게됩니다. 룬 서폿&정글 세트는 난입을 통해 빠르게 접근, 이니시합니다. 난입을 포함해 모든 룬에서 이동속도와 관련된 세팅입니..
리그 오브 레전드의 141번째 챔피언 핏빛 항구의 학살자 파이크 공략입니다. 2018년 5월 31일 출시된 파이크는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처음으로 수당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챔피언입니다. R - 깊은 바다의 처형으로 챔피언을 마무리하면, 이 스킬을 20초 안에 마나 소모 없이 다시 사용 가능하며 파이크와 아군에게 챔피언 처치의 골드를 추가로 지급합니다. 체력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9999의 고정 피해를 주기 때문에 데미지도 상당하며, 괴랄할 정도의 골드 수급으로 스노우볼 능력이 탁월한 챔피언입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서포터로 출시되었지만 미드와 탑에서도 자주 사용되다가 Q와 E 스킬의 너프로 라인 클리어 능력이 저하되어 사용 빈도가 줄었습니다. 하지만 상대 챔피언에 따라 등장할 수도 있는 조커 픽..
리그 오브 레전드의 44번째 챔피언 불굴의 창 판테온 공략입니다. 2010년 2월 2일, 리그 오브 레전드 초창기에 출시된 판테온입니다. 챔피언 자체가 초반에 너무 강력하고, 후반에 무기력하여 별명이 빵통기한이였습니다. 이후 2019년 9.16 패치를 통해 리메이크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2019년 롤드컵에서 순수 벤률 100%를 달성하게 될 정도로 사기적 면모를 보였습니다. 이후 Q - 혜성의 창의 너프로 라인 클리어 능력이 감소되어, 탑 미드에서보다는 서포터에서 자주 기용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탑과 미드에서도 챔피언 상대로는 여전히 강력한 모습을 보입니다. 특히 강력한 라인전과 R - 거대 유성으로 로밍 능력으로 강점을 살리는 챔피언이 되었습니다. 룬 판테온은 집중 공격과 정복자 두 가지 선택지..
리그 오브 레전드의 최초의 17 챔피언 중 하나인 서리궁수 애쉬 공략입니다. 애쉬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시작인 2009년 2월 21일에 출시된 17개의 챔피언 중 하나입니다. 그 당시 원거리 딜러로는 애쉬와 시비르, 트리스타나 정도가 있었습니다. 10년이 넘은 시간 동안 큰 패치없이 패시브와 Q 스킬 정도가 변경된거 정도밖에없습니다. 애쉬 목소리는 많은 분들이 아시는 서유리 성우님이 녹음해주셨습니다. 룬 애쉬는 치명적 속도룬을 들어줍니다. W - 일제 사격으로 치명적 속도를 발동하기 매우 쉽고, 치명적 속도 상태로 Q - 궁사의 집중이 빠르게 발동, 강한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W 몇번 사용하면 마나가 상당히 빨리 사라지기때문에 승전보보단 침착을 들어주시고, 1코어 아이템이 정수 약탈자가 아닌 이상 ..
리그 오브 레전드의 134번째 챔피언 강철의 그림자 카밀 공략입니다. 출시 직후 대부분의 챔피언이 OP소리를 듣지만, 그 중에서도 손에 꼽히는 챔피언인 카밀입니다. 2016년 12월 7일 출시된 카밀은 라이엇 게임즈 디자이너 '라이엇 재그'의 손에 의해 디자인되었습니다. 재그는 카밀 이외에도 카이사 디자인, 아트록스 리메이크 등 건드는 챔피언마다 밸런스를 휘저어놓아 악명이 높은 사람입니다. 카밀은 나온 직후부터 시즌 7 내내 너프를 받았으며, 2017 LCK 스프링을 통틀어 벤픽률 100%를 달성할 정도로 최고의 OP 챔피언이었습니다. Q - 정확성 프로토콜의 두 번째 강화 공격의 데미지가 상당히 너프되고, W - 전술적 휩쓸기의 회복량 감소, E - 갈고리 발사/갈고리 돌진 거리 너프 등 온갖 스킬을 ..
리그 오브 레전드의 140번째 챔피언 공허의 딸 카이사 공략입니다. 2018년 3월 7일에 전장에 합류한 카이사는 출시하자마자 당시 최고의 OP챔피언으로 Q - 이케시아 폭우의 데미지에 상대 챔피언들이 죽어날 정도였습니다. 상당히 너프되었지만, 그럼에도 시너지가 좋은 서포터와 조합하면 여전히 강력한 챔피언입니다. 카이사 출시 이후, 스토리를 보던 몇몇 유저들이 카이사 스토리가 너무 슬프다며 라이엇에게 1:1 항의를 하는 유저도 있었다고 합니다. 간단히 요약해보자면, 어린나이의 카이사는 말자하에게 붙잡혀 공허로 끌려가게 됩니다. 공허에서 불굴의 의지와 집요한 노력 끝에 간신히 살아남게 되었지만, 그녀의 두번째 피부가 된 공허충의 껍질과 불쾌한 공생 관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가장 슬픈 내용은 카이사의 부친이..
리그 오브 레전드의 110번째 챔피언 지옥의 간수 쓰레쉬 공략입니다. 상당히 외관이 무섭게 생긴 쓰레쉬는 '그림자 군도의 악령'이라는 컨셉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쓰레쉬의 Q - 사형 선고/죽음의 질주, W - 어둠의 통로, E -사실 채찍 이름만 들어도 무서운 이 스킬들 하나하나가 쓰레쉬와 상당히 잘 어울린다고 생각합니다. 그랩류 서폿으로 플레이 메이킹 능력이 뛰어나며, 아군을 지키는 역할에도 능통한 만능 서포터 챔피언입니다. 2013년 1월 23일에 출시 되었음에도 항상 상위권 서포터의 자리를 차지하고있는 쓰레쉬입니다. 룬 쓰레쉬의 룬은 상당히 간단합니다. 핵심 룬을 여진과 수호자 중에서 선택만 하시면 됩니다. 영감 룬에서 비스킷 배달이 필요없다 생각되시면 완벽한 타이밍을 들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여진 룬..
리그 오브 레전드의 62번째 챔피언 광명의 소녀 럭스 공략입니다. 럭스는 정통 AP 미드 챔피언으로 출시되어 리그 오브 레전드 초창기에 미드에서 자주 만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암살자 챔피언의 등장과 럭스 챔피언이 가진 한계때문에 최근에는 서포터에서 자주보게 되었습니다. 챔피언 자체의 난이도가 높지도 않고, 캐릭터의 설정이나 미모가 좋아 꾸준히 높은 픽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스킨 개수도 총 13개로 이즈리얼, 미스포츈 다음으로 많을 정도로 인기가 많은 챔피언입니다. 초월급 - 원소술사 럭스 신화급 - 전투사관학교 럭스 프레시티지 에디션 전설급 - 우주 럭스 암흑 우주 럭스 서사급 - 별수호자 럭스 ,파자마 수호자 럭스, 달빛여왕 럭스, 전투사관학교 럭스 인기와 스킨을 다 갖추었지만 데미지가 부족..
리그 오브 레전드의 67번째 챔피언 필트오버의 보안관 케이틀린 공략입니다. 2011년 1월 4일 출시된 케이틀린은 기본 공격 사거리가 650으로 지금까지 출시된 챔피언 중 가장 깁니다. 만월총 상태의 아펠리오스와 같은 사거리로 특정 챔피언과 상황을 제외하고서는 가장 긴 사거리를 갖고 있습니다. 조건없이 최장거리의 사정거리를 갖고 있는 것이 케이틀린의 최대 장점이자 특징입니다. 하지만 기본 체력이 510으로 원거리 딜러에서 하위권에 위치하므로 거리 조절을 잘 해주셔야 겠습니다. 케이틀린의 우월한 사거리와 강력한 Q W E R 스킬 덕분에 라인전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E - Q 콤보나 W - 요들잡이 덫을 포탑안쪽으로 숨기는 등 상대 바텀을 압박하는데 있어 탁월한 능력을 보입니다. CC기가 있는 아군..
리그 오브 레전드의 107번째 챔피언 그림자의 주인 제드 공략입니다. 제드는 2012년 11월 13일 출시부터 OP 챔피언 반열에 오르며 수많은 명장면을 만들어 낸 장본인입니다. 특히 리그 오브 레전드 명장면에 손꼽히는 [2013년 롤챔스 결승 5세트]에서 페이커 선수와 류 선수의 제드 대결입니다. 페이커 선수의 미친 제드 컨트롤을 보여주며 '류또죽'이라는 장면을 만들어냅니다. 여러번의 패치로 제드의 너프로 밸런스가 얼추 맞는 평범한 챔피언이 되나 했지만, 제드를 관짝에 넣어버리게 된 룬 패치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당시 초시계 키트를 초반부터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라인전에 강점으로 킬각을 보던 제드는 강점이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제드의 R - 죽음의 표식 데미지를 줄 수 없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후..
리그 오브 레전드의 143번째 챔피언 해방된 자 사일러스 공략입니다. 2019년 1월 25일 출시 이후부터, 잦은 패치로 라인과 아이템을 바꿔가며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사일러스입니다. 사일러스의 상징인 R - 강탈은 상대 챔피언의 궁극기를 복사하여 사용합니다. 궁극기가 좋은 챔피언이 많을수록 사일러스의 가치는 올라가게 됩니다. 랭크 게임에서 선픽으로 뽑아도 좋지만, 상대 챔피언의 궁극기를 보고 나서 선택하시면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 룬 사일러스는 기민한 발놀림과 정복자 두 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미드와 탑에서 주로 사용하는 룬입니다. 사일러스의 W - 국왕시해자가 패치를 통해 사일러스의 라인전이 힘들어졌습니다. 기민한 발놀림으로 체력 회복 및 이동 속도로 라인전을 안정적으로 가져가며, 추가적으로 보조 ..
리그오브레전드의 115번째 챔피언 정화의 사도 루시안 공략입니다. 원거리 딜러로 출시된 루시안은 라인전이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미드와 탑에서도 자주 모습을 보입니다. 언데드를 사냥하는 유물 쌍권총을 사용하며, 아내(세나)의 복수를 하기위해 쓰레쉬를 찾고 다닌다는 설정으로 출시되었습니다. 패시브 - 빛의 사수는 스킬 사용시 기본공격이 두 발 나가게 됩니다. 이를 잘 사용하는 것이 루시안 장인유저들을 나누는 기준이라 생각됩니다. 룬 루시안은 기본적으로 집중 공격을 활성화 시키기 상당히 좋은 챔피언이기때문에 주요 룬은 고정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기본 공격 후, 스킬을 아무거나 사용하여 패시브 - 빛의 사수로 기본 공격시 집중 공격이 터지기때문에, 집중 공격 출시 이후 상당히 루시안에게 잘 어울려 꾸준히 사용되..
리그 오브 레전드의 129번째 챔피언 잔혹극의 거장 진 공략입니다. 진은 그레이브즈와 더불어 총알 수에 제한이 있는 챔피언입니다. 또한 가장 큰 특징은 고정된 공격 속도를 가지며, 4발을 발사 후 재장전의 시간을 지닙니다. 그렇기에 진의 기본 공격 한발 한발이 매우 강력한 데미지를 지니고 있습니다. '살인을 예술이라고 믿는 사이코패스'라는 컨셉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유독 챔피언의 스킬이 4라는 숫자와 많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패시브 - 속삭임 : 4발 후 장전 Q - 춤추는 유탄 : 최대 4명에 적에게 튕김 R - 커튼콜 : 4발의 강력한 탄환 발사 룬 진은 기민한 발놀림과 어둠의 수확 두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기민한 발놀림은 진의 이동속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어느 상황에서나 사용하기 가장 무난하다고..
리그오브레전드의 98번째 챔피언 녹서스의 실력자 다리우스 공략입니다. 룬 다리우스는 정복자를 중심으로 한 룬 빌드를 사용합니다. 다리우스의 패시브 - 과다출혈과 잘 어울리기때문에, 정복자는 고정해시길 바랍니다. 한타 이니시를 주도하는 챔피언이기때문에, 승전보를 통해 한타 생존력을 올려주시고 기본적으로는 전설: 민첩함으로 패시브 - 과다출혈의 스택을 빨리 올리지만, 상대방의 CC기가 강력한 경우 전설: 강인함으로 들어주시면 됩니다. 최후의 일격은 다리우스 궁극기와 잘 맞지 않아, 최후의 저항을 들어주시면됩니다. 다리우스는 소위 뚜벅이 챔피언이기때문에, 유체화를 통해 상대방에게 접근합니다. 그렇기때문에 빛의 망토와 기민함으로 추가 이동속도를 받으며 더 쉽고 빠르게 이니시를 가능하게 합니다. 하지만, 라인전에..
리그오브레전드의 47번째 챔피언 무모한 모험가 이즈리얼 공략입니다. 이즈리얼은 시즌마다 항상 새로운 룬과 아이템 세팅으로 많은 유저들에게 모습을 자주 보여주었습니다. 지금은 삭제된 도마뱀 장로의 영혼을 가는 파랑 이즈, 룬 글레이브 정글 이즈 등 상당히 OP챔피언인 시절도 있는 반면, 조금만 너프해도 그 누구도 쓰지않았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최근 유명했던 도벽 이즈도 마찬가지입니다. 이후 8.20패치에서 리메이크 이후, 현재까지도 좋은 티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룬 도벽이 삭제되고 현재는 정복자와 치명적 속도 두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정복자 빌드는 이즈리얼의 전성기인 2코어 이후 재사용 대기시간 35%정도 맞춰진 이후부터 강한 효과를 보여줍니다. 그 전까지의 라인전이나 소규모 한타에서는 비교적 약한 모..
리그 오브 레전드의 51번째 챔피언 섬기는 이 없는 암살자 아칼리 공략입니다. 2010년 5월 11일 리그 오브 레전드의 초창기에 출시된 아칼리는 2018년 8월 2일 8.15패치에서 리메이크를 받으면서 유례없는 OP 챔피언 반열에 오르게 됩니다. (W-황혼의 장막의 포탑 어그로 무시, Q-오연투척검의 회복능력 등) 이후 여러 번의 너프를 겪고도 솔랭에서는 밸런스가 잡아지는 듯했으나 프로 경기에서는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 밸런스 조절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룬 아칼리의 룬은 기민한 발놀림, 정복자, 감전이 있습니다. 초반 아칼리의 약해진 라인 유지력과 순간적인 거리 조절을 위해 기민한 발놀림을 자주 기용합니다. 아칼리는 AD도 어느 정도 올리기 때문에 기민한 발놀림의 효..
리그오브레전드의 146번째 챔피언 구원자 세나 공략입니다. 룬 원딜 세나와 서폿 세나에 따라 룬이 바뀝니다. 원딜 세나는 빙결 강화 룬으로 평타+Q 콤보로 견제를 하여 초반에 약한 라인전의 안정감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서폿 세나는 메인 딜러의 역할보다는 아군을 보조하는 역할이 더 강합니다. 세나의 Q가 평타판정이 적용되어서 라인전에서 착취의 손아귀를 자주 발동할 수 있습니다. 딜교환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고 결의룬으로 인해 탱킹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스펠 점멸은 꼭 들어주세요! 원딜은 상대의 CC기가 강하지않는 이상 회복을 들어주시면 됩니다. 서폿으로는 상대의 암살자가 있다면 탈진을 들어주시면 되지만, 세나는 뒷 포지션에 위치하는 챔피언이기 때문에 배리어를 추천드립니다. 원딜이 정화를 든 경우,..
리그오브레전드의 150번째 챔피언 잊히지 못한 자 요네 공략입니다. 룬 미드와 탑 요네라면 정복자를 추천드립니다. 거리조절이 중요한 챔피언 상대나 라인전이 힘들것 같으면 기민한 발놀림을 들어주세요! 정글 요네는 강력한 갱킹을 위하시면 정복자를, 정글링에 도움을 주기위해 기민한 발놀림을 고려해도 좋습니다. 스펠 점멸은 꼭 들어주세요! 라인전을 강하게 하고싶다면 '점화'를, 후반 운영이나 합류를 하기위해선 '텔레포트'를, 정글로는 '강타'를 들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스킬빌드 Q-E-W 가 가장 기본적인 스킬 마스터 순서입니다. 야스오와 마찬가지로 Q가 주력스킬이기때문에 우선적으로 Q를 마스터 해주신다음, E에 스킬포인트를 투자할때마다 스킬 쿨타임이 3초씩 줄기 때문에 다음으로는 E를 찍어주시면 됩니다. [20..
리그오브레전드의 유일한 한국형 챔피언 구미호 아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룬 아리의 룬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순간적인 데미지를 높혀 암살의 역할을 극대화하는 '감전'과 E-매혹의 적중률을 높이고 이니시를 위한 '빙결 강화' 입니다. 1.감전 감전은 강력한 라인전으로 초반부터 [기본 공격 + W-여우불 + 기본공격] 혹은 [Q-현혹의 구슬 + 기본공격] 으로 딜교환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또한 E-매혹이 적중할시 Q-현혹의 구슬이 확정으로 적중하기 때문에 감전과 더불어 상당한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상대를 압박하여 푸쉬하고 포탑 다이브나 정글과 합류하여 카정, 로밍을 가는게 라인전의 목표입니다. 게임 후반에는 미드나 원딜같은 메인 딜러 암살에 힘써주셔야 합니다. 조이,니코,신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